경제

투자수익률 vs 잔여이익, 뭐가 더 정확할까? 투자성과평가 핵심 비교

journal6000 2025. 5. 1. 15:37
반응형

재경관리사 시험에서도 자주 나오는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에서 투자수익률(ROI)잔여이익(RI) 방식은 모두 중요한 개념인데, 많은 수험생들이 왜 잔여이익은 투자규모가 다를 경우 비교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지 혼란을 겪습니다.

간단한 예시도 함께 들어서 자세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

 

 개념 먼저 정리: ROI vs RI

1. 투자수익률 (ROI, Return on Investment)

ROI=영업이익영업자산×100\text{ROI} = \frac{\text{영업이익}}{\text{영업자산}} \times 100

  •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했는지를 비율(%)로 나타냅니다.
  • 단위가 없고 상대적인 수치이므로 투자 규모와 관계없이 비교가 가능합니다.

2. 잔여이익 (RI, Residual Income)

RI=영업이익−(영업자산×필수수익률)\text{RI} = \text{영업이익} - (\text{영업자산} \times \text{필수수익률})

  • 필수수익률(요구수익률, 자본비용 등)을 넘겨서 얼마나 더 벌었는지절대값(원화) 으로 표시합니다.
  • 단위는 ‘원’ 이며, 투자금액이 클수록 잔여이익도 커질 수 있습니다.

 

 핵심 차이: “절대값 vs 상대값”

구분 투자수익률 (ROI) 잔여이익 (RI)

계산 방식 상대적 비율(%) 절대적 이익(원)
비교기준 투자효율성 이익규모
투자규모 차이 영향 없음
예시 비교 적합성 ✔ 적합 ✖ 부적합

 

 예시로 설명

A안과 B안이라는 두 투자안을 비교해보겠습니다.

 

항목   /  A안   /  B안

영업이익 2,000만원 4,000만원
영업자산 1억원 4억원
필수수익률 10% 10%

 

 A안

  • ROI: 2,000 / 10,000 = 20%
  • RI: 2,000 - (10,000 × 10%) = 2,000 - 1,000 = 1,000만원

 B안

  • ROI: 4,000 / 40,000 = 10%
  • RI: 4,000 - (40,000 × 10%) = 4,000 - 4,000 = 0원

 

 해석

▷ ROI 기준:

  • A안: 20%
  • B안: 10%A안이 더 높은 투자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

▷ RI 기준:

  • A안: 1,000만원
  • B안: 0원A안이 남기는 이익이 더 많은 것으로 판단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이제 C안을 추가해볼게요.

 

항목   /  C안

영업이익 10,000만원
영업자산 10억원
필수수익률 10%
  • ROI: 10,000 / 100,000 = 10%
  • RI: 10,000 - (100,000 × 10%) = 10,000 - 10,000 = 0원

B안과 C안은 ROI도 같고 RI도 같음 → 둘 다 “0원” 남음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떨까요?

  • C안은 10억을 운영해서 1억 벌었고,
  • B안은 4억을 운영해서 4천만 원 벌었습니다.

이 둘을 동일하게 보는 것은 합리적일까요?

 

투자수익률(ROI) 은 “효율성” 지표

  • 퍼센트(%)로 표현되므로 기업 규모가 다르더라도 비교 가능
  • 단점: 규모 큰 투자일수록 과소평가될 수 있음
    (예: ROI는 낮지만 실제 이익은 큼)

잔여이익(RI) 은 “이익의 크기” 지표

  • 실제 얼마를 벌었는지 알려주는 절대 금액
  • 단점: 투자 규모가 다른 안끼리 비교하기 어려움
    • 1억 투자해서 2,000만원 남긴 안과
      10억 투자해서 2,500만원 남긴 안 중
      RI만 보면 후자가 더 좋지만, ROI는 훨씬 낮을 수 있음

▶ 따라서,

  • 잔여이익은 동일 규모의 투자안끼리 비교할 때 유용합니다.
  • 규모가 다른 투자안끼리 비교할 때는 ROI처럼 비율로 표현되는 지표가 더 타당합니다.

 

 실제 기업 사례와 연계

많은 기업에서 ROI는 각 부서 또는 사업부의 효율성을 평가할 때 활용합니다. 반면 RI는 EVA(Economic Value Added) 같은 개념으로도 응용되며, 자본비용 이상으로 얼마를 벌어들였는지를 중시할 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RI만 가지고 투자 대안을 비교하면 자칫 투자 규모가 큰 사업이 과소평가되거나 과대평가될 수 있습니다.

 

요약

구분   /   투자수익률(ROI)    /   잔여이익(RI)

목적 자산 활용 효율성 평가 자본비용 초과 이익 평가
장점 비교 용이 (규모 상관없음) 실제 이익을 반영
단점 실제 이익 무시 가능성 투자규모 다르면 비교 부적절
비교 적합 규모 다른 투자안도 OK 동일 규모의 안끼리만 적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