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질병분류 코드(ICD 코드)를 익히는 것은 쉽지 않지만, 정확한 방법과 원리를 알면 훨씬 수월해집니다. 아래에 질병코드 찾는 방법, 선도어(leading term) 선택법, 그리고 부호(-, —, —-)의 의미와 사용법, 질병분류 사전 보는 법을 상세히 설명드립니다.
1. 질병분류 코드(ICD 코드)란?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한 질병과 사망 원인의 분류 체계입니다. 한국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사용됩니다. KCD는 보험청구, 통계, 의학연구 등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2. 질병코드 찾는 기본 방법
질병코드는 보통 다음 3단계로 찾습니다.
(1) 선도어(Leading Term) 찾기
- 질병명을 사전처럼 알파벳순 또는 가나다순으로 정리한 목차(인덱스)에서 대표 용어(선도어)를 찾습니다.
- 예를 들어 “급성 충수염(appendicitis)”을 찾는다면:
- "충수염" → "Appendicitis"가 선도어입니다.
(2) 부속 용어(Subterm) 확인
- 선도어 밑에 들여쓰기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이 부속 용어입니다.
- 예) Appendicitis
acute → K35.8
chronic → K36
→ 여기서 acute는 부속 용어이고, 해당 코드가 K35.8임을 보여줍니다.
(3) 알파벳 코드표(Vol.1)로 코드 최종 확인
- 인덱스(목차)에서 찾은 코드를 실제 분류표에서 찾아 그 질병이 올바른지, 포함·제외 조건이 있는지 최종 검토합니다.
3. 선도어(Leading Term) 고르는 방법
질병명이 한글일 경우, 대표적인 의학 용어(또는 영어 명칭)로 찾아야 합니다.
예시 1: "위염"
- "위"는 영어로 stomach → 하지만 질병명은 gastritis
- 그래서 선도어는 gastritis로 찾아야 합니다.
예시 2: "간경변"
- 간 = liver → "liver cirrhosis" → 선도어는 cirrhosis, 또는 liver, cirrhosis of
즉, 직역이 아닌, 의학적 대표 용어를 기준으로 선도어를 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의학용어는 조금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부호의 의미 ( -, —, —- )
사전이나 분류표를 보면 종종 이런 기호들이 나옵니다. 이들은 들여쓰기의 단계나 의미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기호 의미 들여쓰기 설명
- (한 개) | 1차 부속어 | 한 번 들여쓰기 | 선도어의 기본 분류 |
— (두 개) | 2차 부속어 | 두 번 들여쓰기 | 1차 부속어의 세부 항목 |
—- (세 개) | 3차 부속어 | 세 번 들여쓰기 | 더 세분화된 항목 |
예시:
Gastritis
- acute (K29.0)
- chronic (K29.3)
— with ulcer (K29.4)
→ "Gastritis, chronic, with ulcer" = K29.4
→ 들여쓰기 수준에 따라 세부 정보가 구분되는 구조입니다.
5. 질병분류 사전 보는 법
KCD 또는 ICD 사전은 보통 다음 2권으로 나뉩니다.
Vol.2: 인덱스(Index, 색인)
- 목차형으로 찾기에 적합
- 질병명 또는 증상명으로 코드 찾기
Vol.1: 분류표(Tabular List)
- 코드별로 확인
- 인덱스에서 찾은 코드의 정확성 확인
- ‘제외 사항’, ‘포함 사항’ 확인 필수
인덱스 사용 팁
- 가급적 의학 용어(영문) 기준으로 선도어를 찾아야 정확합니다.
- 병명에 익숙하지 않을 경우, 네이버 의학사전, 의약품 설명서 등에서 영문 병명 검색 후 확인 가능
- 포괄 질환인지, 세부 진단이 가능한지도 체크하세요.
6. 예시로 풀어보기
예시1: "고혈압"
- 선도어: Hypertension
- 부속어: essential (본태성) → I10
예시2: "급성 편도염"
- 선도어: Tonsillitis
- 부속어: acute → J03.0
7. 자주하는 실수
- 질병명만 보고 코드 추측하지 않기: 같은 질병이라도 상태(급성/만성), 부위, 원인균에 따라 코드가 다릅니다.
- 중복 질환 무시하지 않기: 예를 들어 ‘당뇨로 인한 망막병증’처럼 두 질병이 결합된 경우 복합 코드 필요.
- 들여쓰기 무시하지 않기: 부속어가 선도어를 대체하거나 의미를 바꾸는 경우가 많습니다.
8. 공부 방법 팁
- 자주 사용하는 질병부터 외우기
- 고혈압, 당뇨, 감기, 폐렴, 충수염, 위염, 디스크 등
- 질병명 – 코드 매칭 퀴즈 만들기
- Flashcard 앱(Anki, Quizlet 등)을 활용해 학습
- KCD 전자사전 사이트 활용
- 통계청 KCD 검색 사이트 사용 추천
- 사례 중심 공부
- 실제 보험청구서, 진료기록 등을 예시로 보고 병명-코드 매칭 연습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정학으로 읽은 세계 질서: 패권, 자원, 전략의 전쟁 (feat.변제의 최종성) (2) | 2025.05.13 |
---|---|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완벽 정리: 자주 틀리는 표현과 올바른 표기법 예시 (2) | 2025.05.10 |
고사성어 11선: 삶의 교훈이 담긴 지혜의 말들 (0) | 2025.05.07 |
레포트 작성 가이드: 제목, 글자 크기, 여백 설정까지 완벽 정리 (0) | 2025.05.04 |
지각 몇 번에 강제 위클래스? 낙인 찍히는 학교 현실 (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