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예금 종류 완벽 이해: 당신에게 맞는 예금은 무엇일까?

journal6000 2025. 4. 27. 12:04
반응형

예금의 종류 완벽 정리

예금은 기본적으로 은행이나 금융기관에 돈을 맡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맡긴 돈은 일정 조건에 따라 출금하거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금의 종류는 크게 입출금 방식, 이자 지급 방식,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됩니다.

 

1.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1) 보통예금

  • 일반 개인이나 기업이 가장 흔히 사용하는 예금입니다.
  • 입금과 출금이 자유롭고, 통장, ATM, 인터넷뱅킹 등을 통해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약간의 이자를 지급하지만, 이율은 매우 낮습니다.

2) 당좌예금

  • 수표 발행을 위해 사용하는 예금입니다.
  • 주로 기업이나 사업자가 거래 결제용으로 사용합니다.
  • 잔액보다 많은 수표를 발행하면 부도처리가 되어 신용상 큰 문제가 생깁니다.
  • 이자가 지급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3) 가계당좌예금

  • 개인을 위한 당좌예금 형태입니다.
  • 개인이 당좌수표를 발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 상품입니다.
  •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4) 기업자유예금

  • 기업 전용 보통예금 형태입니다.
  •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고, 주로 기업 자금 운용에 사용됩니다.

5) MMDA (Money Market Deposit Account, 시장금리부 수시입출금 예금)

  •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데, 일반 보통예금보다 높은 이율을 제공합니다.
  • 하루 단위로 잔액에 따라 금리가 적용됩니다.
  • 단, 일반 보통예금처럼 자유로운 출금은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일정 기간 동안 돈을 맡기는 예금 (거치식)

1) 정기예금

  • 일정 기간(예: 6개월, 1년, 2년 등) 동안 돈을 예치합니다.
  • 만기까지 돈을 찾지 않으면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중도해지 시 이자가 크게 줄어듭니다.

2) 정기적금

  • 매달 일정 금액을 정해진 기간 동안 납입하는 예금입니다.
  •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함께 받습니다.
  • 꾸준한 저축 습관을 기르기에 좋습니다.

3) 상호부금

  • 예전 금융기관에서 사용했던 방식으로, 정해진 기간 동안 부금을 납입하고 만기에 목돈을 받는 구조입니다.
  • 현재는 정기적금과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4) 목돈마련적금

  • 특정 목표(결혼자금, 주택청약, 교육비 등)를 마련하기 위해 가입하는 적금 상품입니다.
  • 일부 상품은 세제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3. 특정 목적에 맞춘 예금

1) 주택청약종합저축

  • 국민주택, 민영주택 등을 청약할 수 있는 권리를 얻기 위해 가입하는 저축 상품입니다.
  • 청약 가점, 순위 등에 반영됩니다.
  • 일정 요건을 만족하면 소득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2) ISA (Individual Savings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다양한 금융상품(예금, 펀드, 주식 등)을 한 계좌 안에서 운용할 수 있습니다.
  • 일정 기간(3년 이상) 유지하면 발생한 수익에 대해 일부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3) 세금우대저축

  • 일정 조건(나이, 소득 등)을 충족하는 개인이 가입할 수 있으며, 이자소득세를 낮춰줍니다.
  • 현재는 일반 세금우대 상품은 거의 없어졌지만, 비슷한 취지의 상품(청년우대형 청약통장 등)이 있습니다.

4) 재형저축 (재산형성저축)

  • 일정 기간 동안 저축하여 근로자들의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해 운영되었습니다.
  • 현재는 종료되었지만, 비슷한 컨셉의 저축형 상품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4. 외화로 맡기는 예금

1) 외화예금

  • 원화가 아니라 미국 달러(USD), 일본 엔화(JPY), 유로(EUR) 등 외국 통화로 예치하는 예금입니다.
  • 환율 변동에 따라 이익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외 송금이나 해외 투자 목적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2) 외화정기예금

  • 일정 기간 외화를 맡겨두고 약정된 금리에 따라 이자를 받는 예금입니다.
  • 외화 가치 상승 시 추가 이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5. 특수 형태의 예금

1) 양도성 예금증서 (CD, Certificate of Deposit)

  •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고정금리 예금증서입니다.
  • 만기 전에 제3자에게 자유롭게 양도할 수 있습니다.
  • 고액 단위(보통 1천만 원 이상)로 발행되며, 일반 개인보다는 기관투자자나 법인이 주로 이용합니다.

2) 표지어음

  •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 동안 돈을 맡기고 발행하는 어음 형식의 상품입니다.
  • 고정금리가 적용되며, CD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만기를 가집니다.

3) 만기일시지급식 예금

  • 일정 기간 동안 원금을 맡기고,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한꺼번에 받는 구조입니다.
  • 대표적으로 정기예금, 외화정기예금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요약

분류 / 종류 / 특징

수시입출금 보통예금, 당좌예금, MMDA 입출금 자유, 이자 적음
거치식 정기예금, 정기적금 일정 기간 예치, 이자 수령
목적별 주택청약저축, ISA, 세금우대저축 특정 목표 및 세제 혜택
외화 외화예금, 외화정기예금 외국 통화로 운용
특수형태 양도성예금증서, 표지어음 증서 발행, 고액 단위

 

 

예금은 필요 목적과 운용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생활비 관리 ➔ 보통예금
  • 수표 결제 ➔ 당좌예금
  • 목돈 마련 ➔ 정기예금, 정기적금
  • 내 집 마련 ➔ 주택청약종합저축
  • 세금 혜택 ➔ ISA,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 외화 운용 ➔ 외화예금

자신의 목표와 자금 계획에 따라 가장 적합한 예금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